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대장병 / 방광병 / 삼초

by health_care 2024. 1. 19.

대장은 위아래에 큰 주름이 있으며 아래의 끝은 항문과 연결되어 있다. 대장의 상태는 코의 길이를 보고 알 수 있다. 또 피부를 보아도 대장의 상태를 알 수 있는데, 피부가 두꺼우면 대장도 두껍고 피부가 얇으면 대장도 얇다. 피부가 이완되어 있어서 뱃속이 넓으면 대장이 굵고 길며, 피부가 긴장되어 있으면 대장이 가늘고 짧다. 또한 피부가 매끈하면 대장이 곧다. 피부와 살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대장이 뭉쳐 있다.

 

대장병의 증상

대장병 때에는 배 속이 끓고 끊어지는 것같이 아프면서 꾸르륵 소리가 난다. 게다가 이러한 상황에서 겨울에 찬 기운에 상하기까지 하면 바로 설사가 나고 배꼽 부위가 아프며 오랫동안 서 있지 못하게 된다. 이는 배 속에 사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장에 찬 기운이 있으면 삭지 않은 대변이 그냥 나오고, 열이 있으면 고약 같은 대변이 나온다. 대장의 기가 끊어지면 끝없이 설사하다가 설사가 멎으면 사망한다.

 

대장병의 치료

위는 더운 것을 싫어하고, 시원하며 찬 것이 좋아하며, 대장은 시원하고 찬 것을 싫어하고 더운 것을 좋아한다. 이를 적절히 조화시키기 위해서는 음식의 차고 더움과 옷을 춥게 입거나 덥게 입는 것을 알맞게 해야 한다. 즉 더운 것을 먹을 때라도 끓을 정도의 뜨거운 것은 먹어서 안 되고, 찬 것을 먹을 때에도 이가 시리도록 찬 것을 먹어서는 안 된다. 또 덥게 옷을 입을 때도 땀이 날 정도로 덥게 입어서는 안 된다. 이를 적절히 하면 원기가 유지되어 사기가 침범하지 못한다. 대장병에는 사백탕이나 실장산을 쓴다. 단방으로는 석류 껍질, 상백피, 미나리 등을 쓴다.

 

대장은 대변을 저장하고 있다가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동의보감에서는 대장과 피부가 밀접한 관계로 설명한다. 피부가 민감한 여자들의 경우 변가가 심하고 피부가 거칠어진다. 한편, 더운 여름에 차가운 것을 먹고 싶어 차가운 것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는 현상은 위는 더운 것을 싫어하고 차가운 것을 좋아하며, 대장은 차가운 것을 싫어하고 더운 것을 좋아한다는 말로 설명된다. , 위가 차가운 것을 좋아해 찬 것을 많이 먹으면 그것을 받은 장이 차가운 것을 싫어하므로 탈을 일으켜 설사하게 되는 것이다.

 

방광의 형태와 기능

방방은 아랫배에 위치한다. 방광의 배설 상태는 콧구멍으로 나타난다. 또 살결이 부드럽고 피부가 두꺼우면 삼초와 방광도 두껍고, 살결이 거칠고 피부가 얇으면 삼초와 방광도 얇다. 땀구멍이 성글면 삼초와 방광이 늘어져 있고, 피부가 팽팽하고 털이 없으면 삼초와 방광이 팽팽하다. 털이 고우면서 굵으면 삼초와 방광이 정상이며 털이 드물게 난 경우는 삼초와 방광이 맺혀 있음을 나타낸다.

 

방광병의 증상

방광의 병은 아랫배가 균일하지 않게 부으면서 아프고 손으로 누르면 곧 오줌을 누고 싶으나 잘 나오지 않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하초에 열이 몰리면 아랫배가 그득해지고 방광이 뒤틀리기 때문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아 날뛰며, 냉하면 습담이 위로 넘쳐서 침이 많이 나오고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며 유뇨증이 되기도 한다. 방광의 경맥은 족태양인데, 그 기운이 끊어지면 눈을 치뜨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팔다리에 경련이 인다. 또 안색이 하얗게 변하며 구슬땀을 흘리는데 구슬땀을 흘린 다음에 죽는다.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

방광이 허하면 오줌을 참지 못한다. 또 방광이 실하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방광이 허할 때에는 기제환 등을 쓰고, 방광이 실할 때는 익원산 등을 쓴다. 방광병에 쓰는 단방으로 패랭이꽃, 돼지콩팥, 다시마 등이 있다.

 

삼초의 기능

삼초란 상초, 중초, 하초 셋을 통틀어 일컫는 것이다. 삼초는 결독지관으로서 몸 안의 수분을 처리하지만, 형태나 하는 일이 각각 다르다. 상초는 안개와 같고 중초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한다. 상초는 주로 양기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는데 안개나 이슬이 젖어 드는 것과 같으므로 안개 같다고 한 것이다. 상초의 작용은 심폐와 관련된다. 중초는 음식물의 맛을 정미한 기운으로 변화시켜서 폐맥으로 보내어 혈이 되게 하고, 그것을 경맥 속으로 돌게 하여 오장과 온몸에 영양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중초를 거품과 같다고 한다. 중초를 거품과 같다고 한다. 중초의 작용은 비위와 관련된다. 하초는 소변과 대변을 때에 맞게 잘 나가게 하되 들어오지는 못하게 하며, 막힌 곳을 열어서 잘 통하게 되므로 도랑과 같다고 한다. 하초의 작용은 간신과 관련된다.

 

삼초병의 증상과 치료

삼초에 병이 있으면 배가 기운이 가득 차서 아랫배가 몹시 단단해지며 오줌을 누지 못한다. 병이 심해지면 오줌을 누지 못해 복수가 차서 배가 불러온다. 상초는 안개와 같으므로 안개가 흩어지지 않으면 숨이 몹시 차다. 이것은 상초가 주로 내보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중초에 이상이 생기면 내려보내지도 받지도 못하므로 뱃속이 그득해진다. 하초는 도랑과 같으므로 이상이 생기면 막혀서 붓게 된다. 삼초는 모두 음식물의 길이므로 삼초에 병이 있으면 대소변이 잘 통하게 해주어야 한다. 목향빈랑환 등을 쓴다. 단방으로는 황기, 소의 골수, 참외, 연뿌리 등을 쓴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줌이 절로 나오는 병  (0) 2024.01.19
오줌은 어떻게 해서 나오는가.  (0) 2024.01.19
소장병의 증상과 치료  (0) 2024.01.19
위병의 증상과 치료  (0) 2024.01.19
쓸개병의 증상과 치료  (0) 2024.01.19